HR. 2021년 4대 보험
안녕하세요 스토리가 있는 HR입니다.
국민연금, 건강보험(장기요양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을 통틀어
4대 보험이라고 칭합니다.
여기서 국민연금, 건강보험(장기요양보험)은 근로소득을 받는 직장인 기준으로
회사에 절반씩 부담을 하고, 고용보험 중 일부를 근로자가 부담을 합니다.
산재보험은 100% 회사에서 부담을 하구요.
그런데 많은 직원분들의 문의사항은 나의 월급에서 4대 보험료가 얼마나 빠져나가나요? 입니다.
많은 글들과 기준을 보면 총액을 명시하고, 회사부담분, 근로자 부담분을 안내하고 있어서
직관적으로 확인하기에 불편함이 존재하는 것 같아서,
회사분을 제외한 순수한 직장인 기준 요율과 금액을 포스팅 합니다.
연봉기준으로 2,500만원에서 5,000만원까지는 500만원단위로 조정한 금액이며,
5,000만원 이후로 1,000만원단위로 조정된 금액기준입니다.
본인의 연봉이 얼마인지 확인하시고, 요율 안내표 확인하셔서 요율을 곱하면
손쉽게 4대보험 근로자 공제금액 합계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현 직장에서 근무를 1년 이상하신 분은 전년도 연간 보수총액을 올해 4대 보험 산정 연봉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입사한지 1년이 안된 경우는 계약한 연봉을 올해 4대 보험 산정 연봉으로 적용하면 됩니다.
단, 월급 산정시 비과세(식대, 자가운전보조비 등)를 제외한 월급에 요율을 곱해야 합니다.
국민연금의 경우 내 월급이 5,030,000원을 초과하면, 아무리 월급이 높아도 국민연금 226,350원을 공제합니다.
건강보험의 경우도 월급 상한액 기준이 있으나, 너~~~~~~무 높은 소득수준이라
별도로 안내하지 않겠습니다...왠지모를 상실감과 괴리감....
최대의 고민 나의 월급에서 4대 보험료를 얼마나 공제해가나?
손쉽게 확인하시고 계산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스토리가 있는 H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력서 작성 경력확인 전직장경력 경력작성 (0) | 2021.07.21 |
---|---|
HR. 조직정체 (1) | 2021.03.12 |
HR. 공부하기_비전(Vision)과 미션(Mission) (0) | 2021.02.28 |
HR. XYZ세대 (6) | 2021.02.10 |
HR. 월급, 임금, 급여 지급 기준 (5) | 2021.02.07 |
댓글